분류 전체보기 22

[ESG체인] 해운 탄소세 도입, IMO의 결정이 가져올 변화는?

2025년 4월,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에서 발표된 IMO의 중기조치(Mid-term Measures) 안은 전 세계 해운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 핵심은 바로 탄소세(Carbon Levy), 공식적으로는 GHG 연료표준제(GFS)와 ZNZ 보상제도(Zero or Near-Zero Reward)입니다. 탄소세, 어떻게 도입되나?IMO가 제시한 중기조치는 크게 두 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GFI 기준 도입 (GHG Fuel Intensity)선박이 사용하는 연료의 온실가스 배출 강도(GFI: gCO2eq/MJ)를 연간 총에너지 사용량 대비로 계산하고, 목표치(Base 및 Direct)를 설정하여 규제합니다.ZNZ 보상 및 RU 가격기준치를 초과한 배출량에 대해서는 R..

ESG체인 2025.04.23

마리나체인, SMW 2025에서 AI 해운 혁신을 선보입니다!

싱가포르 최대 해양 행사인 Singapore Maritime Week 2025에 마리나체인이 참가합니다! 🌊🚢이번 SMW에서 마리나체인 하성엽 대표님이 직접 발표자로 나서, 해운업의 디지털 혁신과 AI 기반 탄소 배출 추적 및 규제 준수 솔루션에 대해 소개할 예정입니다. 해운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최신 기술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 📌 발표 일정일시: 3월 27일(수) 11:55 AM – 12:10 PM (15분)장소: Tech Village 내 Tech Stage (오픈형 무대, 자유 관람 가능) 📌 마리나체인 부스 위치Tech Village P09 📢 마리나체인 부스에서 직접 만나보세요! 마리나체인의 최신 AI 솔루션과 해운 디지털 혁신 기술을 직..

마리나체인 2025.03.13

[ESG체인] 오염자 부담 원칙(Polluter Pays Principle, PPP): 환경 보호를 위한 핵심 원칙

오염자 부담 원칙(Polluter Pays Principle, PPP)은 환경 오염을 유발한 자가 그 정화 및 복구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이 원칙은 단순한 환경 보호 개념을 넘어, 국제법, 환경 정책, 산업 규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탄소 배출, 해양 오염, 산업 폐기물 처리, 대기 오염 규제 등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원칙으로 활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염자 부담 원칙의 개념, 주요 사례, 관련 규제, 그리고 기업이 대응해야 할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1. 오염자 부담 원칙(PPP)이란? 오염자 부담 원칙은 환경 오염을 발생시킨 주체가 오염 방지, 정화, 복구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972년..

ESG체인 2025.03.10

[ESG체인] ESRS(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 CSRD 대응을 위한 필수 ESG 공시 프레임워크

유럽연합(EU)은 2024년부터 ESG 공시를 의무화하는 CSRD(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를 시행합니다. CSRD를 준수하려면, 기업들은 ESRS(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에 따라 ESG 데이터를 공개해야 합니다. ESRS는 CSRD의 핵심 프레임워크로, 환경·사회·거버넌스(ESG) 전반의 구체적인 보고 기준을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SRS의 개념, 주요 공시 항목, 기존 ESG 프레임워크와의 차이점, 기업의 준비 전략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ESRS란?ESRS(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

ESG체인 2025.03.06

마리나체인 x 하나루프: 해운물류 탄소경영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마리나체인과 하나루프가 해운·물류·중공업·제조업 분야 고객사의 탄소경영 지원을 위해 업무협약(MOU) 을 체결하였습니다! 🤝  🔹 마리나체인과 하나루프,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 마리나체인: 해운, 항만, 중공업, 물류 업계를 대상으로 AI 문서 자동화, 탄소회계 솔루션, 국제 탄소규제 대응(EU ETS, FuelEU 등) 을 지원하는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하나루프: 비철금속, 철강, 자동차 산업을 위한 K-ETS(국내 배출권거래제), EU CBAM, 배터리 규제 등의 기후 규제 대응을 위한 디지털 탄소경영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의 강점을 결합 하여, 기업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산정 하고 글로벌 및 국내 규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협력 모델을 ..

마리나체인 2025.03.05

[ESG체인] CSRD(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 ESG 공시의 새로운 기준

2024년부터 시행되는 CSRD(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는 ESG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는 유럽연합(EU)의 새로운 규제입니다. CSRD는 기존 비재무정보공시지침(NFRD)을 대체하며, 더 많은 기업들이 더욱 상세한 지속 가능성 정보를 공개해야 합니다. EU 시장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이라면 CSRD 준수가 필수적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CSRD의 개념, 주요 내용, 대상 기업, 보고 기준(ESRS), 기존 ESG 공시 기준과의 차이점, 그리고 기업이 준비해야 할 사항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CSRD란?CSRD(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 기업 지속가능성 ..

ESG체인 2025.03.03

[ESG체인] 선박 리사이클링과 ESG: 지속 가능한 해체가 중요한 이유

전 세계 해운업계는 매년 수천 척의 선박을 해체하며 새로운 선박을 건조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선박 해체 과정에서 유해 물질 배출, 환경오염, 노동 착취 문제 등이 발생하면서, 지속 가능한 선박 리사이클링이 해운업계의 핵심 ESG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선박 해체를 친환경적으로 진행하면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기업의 ESG 경영 강화 및 글로벌 규제 준수에도 도움이 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선박 리사이클링의 개념, 주요 문제점, 글로벌 규제, 그리고 기업이 친환경 해체를 실천하는 방법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선박 리사이클링이란?노후화된 선박을 해체하여 철강, 엔진 부품, 전선, 전자기기 등의 자원을 회수하는 과정입니다.선박의 평균 수명은 25~30년으로, 이후에는 효율성이 낮아지고 유지보수 비용..

ESG체인 2025.02.27

[ESG체인] SASB(지속가능 회계기준 위원회): 기업의 ESG 정보 공개를 위한 글로벌 표준

기업의 ESG 정보 공개, 어떻게 준비하고 계신가요?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이 글로벌 기업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면서, 기업들은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더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요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어떤 기준을 따라 ESG 정보를 공개해야 할까요? 오늘 소개할 SASB(지속가능 회계기준 위원회, 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는 ESG 데이터의 산업별 표준을 제공하는 글로벌 보고 프레임워크로, 기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지속 가능성 정보를 공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준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SASB의 개념, 목적, 주요 특징, 활용 방법, 그리고 기업이 SA..

ESG체인 2025.02.24

[ESG체인]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과학적 협력체

기후 변화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대응 과제가 되었습니다.하지만 기후 변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이를 막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글로벌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 이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기구가 바로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PCC의 개념, 역할, 주요 보고서, 글로벌 영향력, 그리고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기업 및 국가의 대응 전략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IPCC란?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정책 ..

ESG체인 2025.02.20

[마리나체인 주간 해운 ESG] 2월 WEEK 4 주요 동향

안녕하세요, 마리나체인입니다. 2025년 2월 넷째 주 해운 업계에 큰 변화를 가져다준주요 소식들을 한눈에 정리해보았습니다 :) 각 소식의 핵심을 정리해 보았으니, 함께 확인해보시죠! 스웨덴, 2029년까지 스크러버 배출 전면 금지! 해운업 영향은?(Sweden will gradually ban all scrubber discharge by 2029) 스웨덴은 2025년 7월 1일부터 개방형 스크러버 배출을 금지하고, 2029년 1월 1일까지 모든 유형의 스크러버 배출을 단계적으로 금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스크러버는 해수를 사용하여 선박의 배기가스를 정화하여 대기 중 황 배출을 줄이지만, 유해물질은 바다로 방출한다. 이 조치는 스크러버로 인한 해양 오염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Sweden has 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