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에서 발표된 IMO의 중기조치(Mid-term Measures) 안은 전 세계 해운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 핵심은 바로 탄소세(Carbon Levy), 공식적으로는 GHG 연료표준제(GFS)와 ZNZ 보상제도(Zero or Near-Zero Reward)입니다.
탄소세, 어떻게 도입되나?
IMO가 제시한 중기조치는 크게 두 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GFI 기준 도입 (GHG Fuel Intensity)
선박이 사용하는 연료의 온실가스 배출 강도(GFI: gCO2eq/MJ)를 연간 총에너지 사용량 대비로 계산하고, 목표치(Base 및 Direct)를 설정하여 규제합니다. - ZNZ 보상 및 RU 가격
기준치를 초과한 배출량에 대해서는 RU(Reduction Unit) 구매를 통해 보상을 해야 하며, 가격은 100~380 USD/tCO2eq로 책정됩니다. 초과량이 많을수록 배출 부담금이 커지며, 반대로 기준보다 낮은 배출량을 기록하면 여유분(RU Surplus)을 수익화할 수도 있습니다.
시행 시점과 절차는?
- 2027년까지 준비 기간
SEEMP 개정, 데이터 수집 시작, GFI 등록소 계정 개설 등의 준비 절차가 요구됩니다. - 2028년부터 본격 시행
연료 사용 데이터 보고, ZNZ 기준 비교, RU 비용 정산 및 적합확인서(SOC) 발급까지 연간 단위로 반복되는 엄격한 관리 체계가 작동하게 됩니다.
실제 비용은 어느 정도일까?
2028년 기준 사례 분석에 따르면,
- 화석연료(HFO) 사용 시 약 418만 달러의 RU 비용이 발생
- B30 바이오 연료 사용 시 연료비는 증가하지만, 탄소세 부담이 크게 줄어 총비용은 절감
- E-fuel 사용 시에는 비용이 크게 상승하지만, ZNZ 기준 만족으로 탄소세는 최소화
즉, 화석연료를 고수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고, 친환경 연료로 전환할수록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구조입니다.
기업이 준비해야 할 것들
- GFI 기준 이해 및 계산 툴 도입
- 바이오 연료 또는 E-fuel 전략적 도입
- ZNZ 보상체계에 따른 수익화 모델 확보
- 연간 보고 주기에 맞춘 정교한 데이터 관리 및 검증 체계 마련
결론: 탄소세, 단순한 비용이 아닌 기회가 될 수도 있다
IMO의 탄소세 도입은 전 세계 해운사들에게 도전이자 기회입니다. 기준보다 낮은 GFI를 달성하면 여유분을 통해 수익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선 탄소배출 데이터의 정확한 관리와 연료 전략 수립이 필수입니다.
🚢 마리나체인은 탄소 규제 대응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IMO의 새로운 시대, 마리나체인과 함께 준비해보세요.
👉 [마리나체인 솔루션 자세히 보기]
'ESG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체인] 오염자 부담 원칙(Polluter Pays Principle, PPP): 환경 보호를 위한 핵심 원칙 (1) | 2025.03.10 |
---|---|
[ESG체인] ESRS(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 CSRD 대응을 위한 필수 ESG 공시 프레임워크 (1) | 2025.03.06 |
[ESG체인] CSRD(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 ESG 공시의 새로운 기준 (1) | 2025.03.03 |
[ESG체인] 선박 리사이클링과 ESG: 지속 가능한 해체가 중요한 이유 (2) | 2025.02.27 |
[ESG체인] SASB(지속가능 회계기준 위원회): 기업의 ESG 정보 공개를 위한 글로벌 표준 (1)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