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11

마리나체인, SMW 2025에서 AI 해운 혁신을 선보입니다!

싱가포르 최대 해양 행사인 Singapore Maritime Week 2025에 마리나체인이 참가합니다! 🌊🚢이번 SMW에서 마리나체인 하성엽 대표님이 직접 발표자로 나서, 해운업의 디지털 혁신과 AI 기반 탄소 배출 추적 및 규제 준수 솔루션에 대해 소개할 예정입니다. 해운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최신 기술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 📌 발표 일정일시: 3월 27일(수) 11:55 AM – 12:10 PM (15분)장소: Tech Village 내 Tech Stage (오픈형 무대, 자유 관람 가능) 📌 마리나체인 부스 위치Tech Village P09 📢 마리나체인 부스에서 직접 만나보세요! 마리나체인의 최신 AI 솔루션과 해운 디지털 혁신 기술을 직..

마리나체인 2025.03.13

[ESG체인] 오염자 부담 원칙(Polluter Pays Principle, PPP): 환경 보호를 위한 핵심 원칙

오염자 부담 원칙(Polluter Pays Principle, PPP)은 환경 오염을 유발한 자가 그 정화 및 복구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이 원칙은 단순한 환경 보호 개념을 넘어, 국제법, 환경 정책, 산업 규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탄소 배출, 해양 오염, 산업 폐기물 처리, 대기 오염 규제 등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원칙으로 활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염자 부담 원칙의 개념, 주요 사례, 관련 규제, 그리고 기업이 대응해야 할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1. 오염자 부담 원칙(PPP)이란? 오염자 부담 원칙은 환경 오염을 발생시킨 주체가 오염 방지, 정화, 복구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972년..

ESG체인 2025.03.10

[ESG체인] ESRS(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 CSRD 대응을 위한 필수 ESG 공시 프레임워크

유럽연합(EU)은 2024년부터 ESG 공시를 의무화하는 CSRD(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를 시행합니다. CSRD를 준수하려면, 기업들은 ESRS(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기준)에 따라 ESG 데이터를 공개해야 합니다. ESRS는 CSRD의 핵심 프레임워크로, 환경·사회·거버넌스(ESG) 전반의 구체적인 보고 기준을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SRS의 개념, 주요 공시 항목, 기존 ESG 프레임워크와의 차이점, 기업의 준비 전략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ESRS란?ESRS(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

ESG체인 2025.03.06

마리나체인 x 하나루프: 해운물류 탄소경영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마리나체인과 하나루프가 해운·물류·중공업·제조업 분야 고객사의 탄소경영 지원을 위해 업무협약(MOU) 을 체결하였습니다! 🤝  🔹 마리나체인과 하나루프,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 마리나체인: 해운, 항만, 중공업, 물류 업계를 대상으로 AI 문서 자동화, 탄소회계 솔루션, 국제 탄소규제 대응(EU ETS, FuelEU 등) 을 지원하는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하나루프: 비철금속, 철강, 자동차 산업을 위한 K-ETS(국내 배출권거래제), EU CBAM, 배터리 규제 등의 기후 규제 대응을 위한 디지털 탄소경영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의 강점을 결합 하여, 기업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산정 하고 글로벌 및 국내 규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협력 모델을 ..

마리나체인 2025.03.05

[ESG체인] 선박 리사이클링과 ESG: 지속 가능한 해체가 중요한 이유

전 세계 해운업계는 매년 수천 척의 선박을 해체하며 새로운 선박을 건조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선박 해체 과정에서 유해 물질 배출, 환경오염, 노동 착취 문제 등이 발생하면서, 지속 가능한 선박 리사이클링이 해운업계의 핵심 ESG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선박 해체를 친환경적으로 진행하면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기업의 ESG 경영 강화 및 글로벌 규제 준수에도 도움이 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선박 리사이클링의 개념, 주요 문제점, 글로벌 규제, 그리고 기업이 친환경 해체를 실천하는 방법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선박 리사이클링이란?노후화된 선박을 해체하여 철강, 엔진 부품, 전선, 전자기기 등의 자원을 회수하는 과정입니다.선박의 평균 수명은 25~30년으로, 이후에는 효율성이 낮아지고 유지보수 비용..

ESG체인 2025.02.27

[ESG체인] SASB(지속가능 회계기준 위원회): 기업의 ESG 정보 공개를 위한 글로벌 표준

기업의 ESG 정보 공개, 어떻게 준비하고 계신가요?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이 글로벌 기업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면서, 기업들은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더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요구에 직면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어떤 기준을 따라 ESG 정보를 공개해야 할까요? 오늘 소개할 SASB(지속가능 회계기준 위원회, 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는 ESG 데이터의 산업별 표준을 제공하는 글로벌 보고 프레임워크로, 기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지속 가능성 정보를 공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준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SASB의 개념, 목적, 주요 특징, 활용 방법, 그리고 기업이 SA..

ESG체인 2025.02.24

[ESG체인]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과학적 협력체

기후 변화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대응 과제가 되었습니다.하지만 기후 변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이를 막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글로벌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 이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기구가 바로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PCC의 개념, 역할, 주요 보고서, 글로벌 영향력, 그리고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기업 및 국가의 대응 전략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IPCC란?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정책 ..

ESG체인 2025.02.20

[ESG체인] 내부탄소가격(Internal Carbon Pricing):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전략적 도구

🌍 기후 변화 대응과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경영이 전 세계적인 핵심 과제로 떠오르면서, 많은 기업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내부탄소가격(Internal Carbon Pricing, ICP) 입니다. 내부탄소가격(ICP)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설정하는 탄소 가격으로, 탄소 배출에 대한 경제적 비용을 내부적으로 반영하여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는 전략적 도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부탄소가격의 개념, 유형, 필요성, 그리고 글로벌 기업들의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내부탄소가격(ICP)란?내부탄소가격(Internal Carbon Pricing)은 기업이 탄소 배출량에 자체적으로 가격을 매겨 탄소 비..

ESG체인 2025.02.17

[ESG체인] 목표관리제(Goal Management System, GMS): 기업과 기관의 체계적인 감축 목표 달성 전략

온실가스 감축 목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계신가요?정부와 기업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목표관리제(Target Management System, TMS)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 목표관리제란?목표관리제(Mandatory Target Management System, TMS)는 일정 규모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기업 또는 기관이 정부로부터 감축 목표를 부여받고, 정해진 기간 동안 이를 달성하도록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국가 단위의 탄소 감축 정책 중 하나로, 배출권 거래제(ETS)와 함께 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는 중요한 정책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1. 목표관리제의 주요 개념📌 목표관리제란?온실가스 및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기업을 대상으로..

ESG체인 2025.02.13

[ESG체인]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업 경영 전략에 어떻게 반영해야 할까?

기후변화 대응은 이제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재무 리스크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특히, EU ETS(배출권 거래제) 개편,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해운 산업의 친환경 연료 전환 등 글로벌 규제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경영 전략에 적극 반영해야 하는 상황입니다.1. 기후변화 시나리오, 왜 기업 경영에 중요한가?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Net-Zero) 정책이 강화되고 있습니다.기업 입장에서 기후변화는 단순한 환경 이슈를 넘어 사업 지속성과 직접 연결된 문제입니다. 구분물리적 리스크 (Physical Risk)전환적 리스크 (Transition Risk)원인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과정..

ESG체인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