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연료 2

[ESG체인] 해운 탄소세 도입, IMO의 결정이 가져올 변화는?

2025년 4월,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에서 발표된 IMO의 중기조치(Mid-term Measures) 안은 전 세계 해운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 핵심은 바로 탄소세(Carbon Levy), 공식적으로는 GHG 연료표준제(GFS)와 ZNZ 보상제도(Zero or Near-Zero Reward)입니다. 탄소세, 어떻게 도입되나?IMO가 제시한 중기조치는 크게 두 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GFI 기준 도입 (GHG Fuel Intensity)선박이 사용하는 연료의 온실가스 배출 강도(GFI: gCO2eq/MJ)를 연간 총에너지 사용량 대비로 계산하고, 목표치(Base 및 Direct)를 설정하여 규제합니다.ZNZ 보상 및 RU 가격기준치를 초과한 배출량에 대해서는 R..

ESG체인 2025.04.23

2025년 FuelEU Maritime 대응 전략: 바이오연료 교체의 경제적 효과

마리나체인이 자체적으로 진행한 한국 메이저 선사 10개사의 100척 선박을 대상으로 한 샘플링 분석 결과에 따르면,2025년부터 시행되는 FuelEU Maritime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바이오연료(Biofuel) 교체가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석 결과, 연료 교체 없이 기존 화석연료를 사용할 경우 규정 위반으로 인해 발생하는 패널티 부담금이연료 교체 비용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1. 바이오연료 교체 필요성 B24 vs B30FuelEU Maritime 규제 기준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바이오연료 교체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B24 기준 24% 바이오연료 혼합 → 연료의 13.2%를 교체B30 기준 30% 바이오연료 혼합 → 연료의 10.5%를 교체 ✅ 결론연료를 전환하지 않을..

솔루션 2025.02.10